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아지 산책이론과 PER BAND
    주식 2017. 2. 10. 18:32

    강아지 산책이론과 PER BAND


    주식은 정~말 많은 이론이 있습니다.


    그 중에 오늘은 강아지 산책이론을 알아볼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주식 초보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이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론이라고 해서 복잡하지 않습니다.


    이 글 읽는데 5분도 걸리지 않으니, 천천히 스크롤 하며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강아지 산책이론



    주식하고 강아지 산책하고 무슨상관이지? 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이 이론의 핵심은 바로 이겁니다.


    강아지 주인 = 회사의 실적(순이익)


    강아지 = 주가 


    사진처럼 강아지의 목줄이 있어야 합니다.


    이 목줄의 길이가 주가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자 그럼 하나씩 설명 드리겠습니다.


    1. 만약 주인은 가만히 서 있어도. 강아지는 계속 움직입니다.


    기업도 실적에 큰 변화가 없어도 주가가 움직입니다.



    2. 주인이 앞으로 걸어가도 강아지는 뒤로 걸어갈 때가 있습니다.


    기업도 실적이 증가해도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지요.



    3. 하지만 주인이 계속 앞으로 걸어간다면 강아지도 앞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기업도 실적이 계속 증가한다면 주가는 오를 수 밖에 없지요.



    이걸 보충설명하기 위한 자료로 PER BAND가 등장합니다.


    두둥



    PER BAND


    우선 PER개념을 모르시는 분은 제 블로그에 있는 PER에 대한 설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그럼 PER BAND는 뭐냐하면, 실적을 기반으로 주가가 움직이는 범위를 그린 그래프입니다.


    예를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KT&G의 PER BAD인데요. 기간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입니다.


    가운데 가장 지저분하게 움직이는 선이 주가입니다.


    보시다시피 가운데 굵은선을 중심으로 주가가 제멋대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10.0x ~ 20.0x 사이에서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주가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PER BAND영역은 종목마다 다릅니다.)



    자 이제 위에서 설명한 강아지 산책이론에 접목시켜 봅시다.


    10.0.x ~ 20.0x가 강아지 목줄의 길이이고요. 


    가운데 굵은선(15.0x)이 주인의 위치입니다.



    주가는 쉬지않고 움직이지만 결국 범위 밖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실적이 내려가는데도 주가가 오르기도하고, 실적이 오르는데도 주가가 내려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결국 주가는 실적에 수렴하게 되어있지요.



    사진을 하나 더 보여드리겠습니다.




    미국의 대표기업 GE의 그래프입니다.


    1982 ~ 1993 까지의 주가 그래프인데요.


    역시 가운데 굵은 선이 실적입니다.


    그리고 주가는 그 안에서 매우 지저분하게 움직이지만, 결국 실적을 따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강아지 산책이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이 이론을 실제로 적용해서 주식을 매매해보시면, 주인은 상당히 천천히 걷고있고, 개의 목줄은 매우 길게 느껴집니다.


    즉 실적 증가속도에 느린데 비해, 주가가 요동치는 범위는 매우 크죠.



    여기서 돈을 방법은 크게 두가지인데요.


    첫번째는 강아지가 최대한 뒤에있을 때, 즉 주가가 실적에 비해 낮을 때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게 전형적인 가치주 투자방법입니다.


    실적에 변화가 없어도 주가가 상승하기도 하니까요.


    주인이 뒤로가지 않는 한, 강아지가 뒤로 갈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두번째 방법은 주인이 최대한 빨리 앞으로 나아가는, 즉 실적이 빠르게 증가하는 종목을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그럼 강아지가 아무리 앞에있어도 주인이 결국 강아지가 있던 자리보다 더 앞으로 갈 수 있습니다.


    이건 성장주 투자방법입니다.



    두 가지를 접목하면 정말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주인은 매우 천천히 움직이고, 목줄은 매우 길다는 겁니다.


    주인은 가만히 있었는데, 강아지가 뒤로 가면 슬퍼지고 앞으로 가면 기쁩니다.


    하지만 진짜 고수는 주인이 계속 멀~리 갈 때까지 몇 년을 기다립니다.


    계속 앞으로 걸어가는 주인이라면, 강아지가 처음 위치보다 뒤에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까요.



    이상 강아지 산책이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경력 15년만에 드디어 ㅠ  (0) 2024.02.25
    초예측  (0) 2020.07.11
    배당락이란?  (2) 2016.12.27
    손정의 투자 스타일 vs 워렌버핏 투자 스타일  (0) 2016.12.07
    자사주 매입, 매각, 소각 에 대해 알아보자  (0) 2016.11.06
Designed by Tistory.